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87

[20160801] 김유정 신부기고. 자비의 희년에 대해서(기쁨과 희망 17호, 2016여름) 다음은 주교회의 정의평화위원회의 총무 김유정 유스티노 신부의 "기쁨과 희망" 17호 (2016, 여름) 기고글입니다. 자비의 희년에 대하여 김유정 유스티노 신부 1. 우리는 ‘자비’를 무엇이라 여기는가 얼마 전 한 지인으로부터 불교의 ‘고(苦)’에 대해 새로운 이야기를 들었다. 그분은 ‘기적 같은 축복의 삶을 왜 붇다는 고통, 괴로움이라 얘기했을까’하고 늘 의문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알고 보니 ‘고(苦)’에 해당하는 팔리어 ‘둑카(dukka)’는 본래 ‘부족하다’, ‘불만족스럽다’, ‘불완전하다’, ‘불충분하다’ 등등의 뜻이라고 한다. 갈애(渴愛), 갈급(渴急)에서 오는 고통 등의 의미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 말이 ‘둑카’인데 이것이 한자로 ‘苦’로 번역되면서 삶에 대한 붇다의 설명 자체가 왜곡.. 2017. 1. 3.
[20160801] 박상병 신부기고 '기회의 불평등과 교회' (경향잡지 2016.8월호) 다음은 대전가톨릭대학교 교수이며, 천주교 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으로 활동 중인박상병 루도비코 신부의 경향잡지 8월호 기고 글입니다. 기회의 불평등과 교회 박상병 루도비코 신부 "개천에서 용 난다."는 말은 이제 더 이상 실현 불가능한 이야기라고 한다. 오히려 "개천에서 욕 나온다."라는 말이 자조적으로 쓰이고 있는 현실이다. 헬조선, 흙수저, 엔포세대 등의 표현들과 연결되어 있는 말이다. 한국전쟁뒤,사회를재건하면서 우리 사회의 가장 큰 성장 동력 가운데 하나는 높은 교육열이었다. 하지만 오늘날 교육은 사회발전을 위한 도구이기보다는 생존을 위한 도구가 된 듯하다. 사회 발전을 이끌면서 자기 자신을 성장시키는 교육이기보다 양육강식의 사회 속에서 도태되지 않고 살아남으려는 몸부림 같은 교육이 되어 버린 것이다... 2017. 1. 3.
[20160801 사진] 대전정평위, 양재동 현대차 앞, 한광호 열사 분향소 방문 등 PHOTO (2016년 8월 1일 대전정의평화위원회 서울방문 활동기)천주교 대전교구 정평위 서울 양재동 한광호 열사 분향소 방문 등 2017. 1. 3.
[20160801] 대전정평위, 서울 양재동 현대차 앞, 한광호 열사 분향소 방문 2016년 8월 1일 대전정평위, 서울 한광호 열사 분향소 방문8월 1일, 서울 양재동 현대 자동차 본사 옆 천주교 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회(위원장. 김용태 마태오 신부)는 지난 8월1일 서울 양재동 현대자동차 본사 옆에 마련된 한광호열사 분향소를 방문하고 노조원들을 위로하였다. 이어 백남기농민 쾌유기원 시민농성장과 광화문미사에 함께 하였다. RELATED Link [20160404] 현대차 하청업체 유성기업 한광호 씨 추모기도천막 설치PHOTO [20160801 사진] 대전정평위, 양재동 현대차 앞, 한광호 열사 분향소 방문 등8월 1일 광화문 시국기도회 Links[20160801] 이석태 세월호특조위원장, “특조위는 절대 침몰해서는 안 됩니다”[20160801] 황병주 잠수사. 故 김관홍 잠수사를 기억.. 2017. 1. 3.
[20160801] 이석태 세월호특조위원장, “특조위는 절대 침몰해서는 안 됩니다” 2016년 8월 1일 광장의 소리 세월호특조위 활동 중단에 대한 이석태 위원장님의 심경과 릴레이단식“특조위는 절대 침몰해서는 안 됩니다” 이석태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위원장 제가 단식 6일째인데 저 스스로는 아주 건강하다고 생각하지만, 다소 힘이 빠져있기 때문에 제 이야기가 여러분들께 들리는 게 왠지 좀 맥이 풀린다는 인상을 주더라도 양해를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먼저 이 특별한 미사 자리에 저희 특별조사위원회를 위해서 지지와 지원의 기도를 아주 간곡하게 해주신 신부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며칠 뒤면 故 의인 김관홍 잠수사의 49재가 되는데, 김관홍 잠수사께서 돌아가신 데에는 저희들의 책임도 큽니다. 김관홍 잠수사께서는 저희 특별조사위원회 두 번째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하셔서 그 당시에 세월.. 2017. 1. 3.
[20160801] 황병주 잠수사의 故 김관홍 잠수사를 기억하며. 진실이 밝혀질 때까지 함께. 2016년 8월 1일(월) 광장의 소리 故 김관홍 잠수사를 기억하며...진실이 밝혀질 때까지 함께...황병주 잠수사 안녕하십니까. 저는 故 김관홍 잠수사 동료 황병주입니다. 김관홍 잠수사의 49재가 며칠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김관홍 잠수사를 대신하여 김관홍 잠수사를 기억하고 뜻 깊은 추모 미사를 마련해주신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김관홍 잠수사는 사명감이 특출하고 불의를 용서하지 않으며 동료들이 지쳐 있을 때는 다가가 위로해주고 궂은일도 마다하지 않고 솔선수범하였습니다. 한 번은 잠수복 수선업체에서 왔었는데 일손이 부족해 김관홍 잠수사가 쉬는 시간에도 동료들의 잠수복을 수선해주는가 하면은 잠수복 주문도 받아주었습니다. 이처럼 김관홍 잠수사는 정도 많고 늘 타인을 배려하는 사람이었습니다.. 2017. 1. 3.
[20160801] 나승구 신부강론. '세월호 의인' 故 김관홍 잠수사님, 고맙습니다 2016년 8월 1일 미사 집전 순서 - 8월 8일 전주교구/ 15일 가르멜수도회,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 22일 의정부교구/ 29일 안동교구(집전 순서는 변경될 수 있습니다.) '세월호 의인' 故 김관홍 잠수사님, 고맙습니다 진짜 행복은 서로를 나누는 것 강론_ 나승구 신부_ 서울교구 장위1동 선교본당 오늘도 무척이나 덥습니다. 삼복 찌는 날씨에도 아름다운 마음으로 이 미사에 함께 하시는 모든 분들에게 하늘의 고마움을 대신 전합니다. 이제 사흘 후인 8월 4일은 세월호의 의인이라고 불리는 고 김관홍 잠수사님의 49재일입니다. “기면 기고 아니면 아닌 것”이라고 가장 간단하면서도 가장 어려운 화두를 남겨놓고 하늘 바다에 잠수한 고 김관홍 잠수사를 기억합니다. 우리가 잘 알다시피 세월호 참사가 일어났을 때.. 2017. 1. 3.
[20160801] 평화야 고치글라. 2016 강정생명평화대행진 2017. 1. 3.
[20160718 사진] 박진도 교수의 행복을 위한 길(부탄여행기)(75차 정세미) PHOTO (75차 정세미, 대전 봉산동 성당, 2016년 7월 18일)박진도 교수의 행복을 위한 길(부탄 여행기) RELATED Links사진 [20160718 사진] 박진도 교수의 행복을 위한 길(부탄여행기)(75차 정세미)강연2[20160718] 박진도 행복위한 길, 부탄 ② GDP보다 GNH가 더 중요하다.강연1[20160718] 박진도의 행복을 위한 길, 부탄 ① 가난하지만 행복한 나라?강론 [20160718] 이상욱 신부강론. 개인의 능력을 저울에 달며 살기만 하면 될까?포스터[20160718] 박진도 교수의 행복을 위한 길(부탄여행기)(75차 정세미, 봉산동)) 2017. 1. 3.
[20160718] 박진도의 행복을 위한 길, 부탄 ② GDP보다 GNH가 더 중요하다. 박진도 충남대 경제학과 명예교수 부탄 ② 가난하지만 행복한 나라? 정세미(75차 정의롭고 평화로운 세상을 위한 미사) 강연대전 봉산동성당 2016.7.18(월) 저녁 7:40~9:14천주교 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회 주최 부탄의 4대 왕 지그메 싱게 왕축 이 분은 부탄의 4대 왕 지그메 싱게 왕축입니다. 지금의 부탄을 만든 분입니다. 일본의 일왕이 왕위를 물려주겠다고 하는 것이 80대의 일인데, 살아있는 일왕이 그 연세에 물려준다는 게 일본에서 대단한 뉴스거리죠. 그런데 이 부은 51세에 왕위를 물려줍니다. 이 분이 이런 말을 했습니다. “모든 나라 정부와 국민들이 경제적 부를 늘리기 위해 노력하는데, 그것을 성취한 사람들은 안락한 생활을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나라의 부가 늘어나도 빈곤하고 비참한 삶을 살.. 2017. 1. 3.
[20160718] 박진도의 행복을 위한 길, 부탄 ① 가난하지만 행복한 나라? 박진도 충남대 경제학과 명예교수 부탄, 가난하지만 행복한 나라? 정세미(75차 정의롭고 평화로운 세상을 위한 미사) 강연대전 봉산동성당 2016.7.18(월) 저녁 7:40~9:14천주교 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회 주최 천주교 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회가 주최하는 정세미의 2016년 상반기 행사가 대전 봉산동 성당에서 열렸다. 정세미는 1월과 8월을 제외하고 매월 천안아산지역에서 1회, 대전지역에서 1회씩 총 20회가 개최된다. 그리고 2016년 상반기 마지막 정세미는 대전 봉산동 성당에서 충남대 경제학과 박진도 명예교수를 모시고 ‘부탄, 가난하지만 행복한 나라?’란 주제로 강연을 들었다. 다음은 그의 강연을 편집·정리한 것이다. 영화『방가? 방가!』본 적 있나요? 영화『방가? 방가!』(2010.9.30. 개봉.. 2017. 1. 3.
[20160718] 이상욱 신부강론. 개인의 능력을 저울에 달며 살기면 하면 될까요? 정세미(75차 정의롭고 평화로운 세상을 위한 미사) 미사 강론대전 봉산동성당 2016.7.18(월) 저녁 7시 미사, 7시 40분 강연 개인의 성실성과 능력을 재는 저울에 각자의 무게를 달며 살기만 하면 되는 걸까요? 이상욱 요셉 신부 (원신흥동성당 주임) 오늘 정세미 강연의 주제는 행복입니다. 그런데 여기 계신 여러분은 행복한 마음이신가요? 행복한가요, 아닌가요? 행복한 마음은 무엇이며, 행복한 상태란 어떤 것일까요? 행복한 느낌이란 각자 주관적이며 그 조건도 각양각색일 겁니다. 그래서 행복하다고 느끼는 개인적 느낌이 가장 중요한지, 아니면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이나 사회 구조적 모습이 더 중요한지, 오늘 정세미 강연을 통해서 이러한 것을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제가 살고 있는 원신흥동 .. 2017. 1. 3.
[20160718] 박진도 교수의 행복을 위한 길(부탄여행기)(75차 정세미, 봉산동)) RELATED Links사진 [20160718 사진] 박진도 교수의 행복을 위한 길(부탄여행기)(75차 정세미)강연2[20160718] 박진도 행복위한 길, 부탄 ② GDP보다 GNH가 더 중요하다.강연1[20160718] 박진도의 행복을 위한 길, 부탄 ① 가난하지만 행복한 나라?강론 [20160718] 이상욱 신부강론. 개인의 능력을 저울에 달며 살기만 하면 될까?포스터[20160718] 박진도 교수의 행복을 위한 길(부탄여행기)(75차 정세미, 봉산동)) 2017. 1. 3.
[20160718 일정] 박진도 교수의 행복을 위한 길(부탄여행기)(75차 정세미) 2017. 1. 3.
[20160718] 동북아와 한반도 평화를 위한 생명평화 미사. 왜관수도원 대강당 2017. 1. 3.
[20160715] 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사드)의 한반도배치결정에 대한 한국천주교회의 입장 한국 천주교회는 사드의 배치로 인해 한반도가 새로운 냉전체제의 중심이 되는 것에 대해 우려하고, 한반도의 군사적, 경제적 불안을 가중시키는 사드 배치를 반대한다는 입장문을 발표하였다. 한국천주교주교회의 민족화해위원회(위원장 이기헌 주교)와 정의평화위원회(위원장 유흥식 주교)는 ‘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사드)의 한반도 배치 결정에 대한 한국 천주교회의 입장’을 2016년 7월 15일자로 발표하고, 평화는 결코 무기의 힘으로 균형이 이뤄지지 않고 신뢰에 의해 확립된다는 교회의 입장을 확인하였다. 아래는 입장문 전문. Statement 2016년 7월 15일 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사드)의 한반도 배치 결정에 대한 한국 천주교회의 입장 “내 평화를 너희에게 준다. 내가 주는 평화는 세상이 주는 평화와 같지 않다”.. 2017. 1. 3.
[20160713] 사드 배치반대. 기어코 보습을 녹여서 칼을 만들려느냐? (정의구현사제단) Statement 2016년 7월 13일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성명기어코 보습을 녹여서 칼을 만들려느냐? “모든 전쟁행위는 하느님을 거스르고 인간 자신을 거스르는 범죄이다.이는 확고히 또 단호히 단죄 받아야 한다.”(사목헌장 80항) 평화를 살리고 경제를 키우는 남북 공존공영의 길을 극구 외면해 온 대통령이 이번에는 우리의 금수강산을 아예 제3차 대전의 화약고로 만들고 있다. 눈먼 이가 눈먼 이를 인도하다가 둘 다 구덩이에 빠지더라(루카 6,9)는 소리는 들었지만 눈먼 하나가 민족 전체를 멸망의 구렁텅이로 잡아끄는 작금의 처사는 일찍이 없었던 일이다. 위정자가 독선을 참회하고 이성을 회복할 수 있도록 간절히 기도한다. 종일토록 경북 성주군민들이 울부짖었다. 강 건너 바라만 볼 일이 아니다. 모두 일어나.. 2017. 1. 3.
[20160711 사진] 희망제작소 이원재 前소장, 희망은 우리 사회가 만들 길 PHOTO (74차 정세미, 온양모종동 성당, 2016년 7월 11일) 희망제작소 이원재 前 소장 특강, 희망, 우리 사회가 만들 길 RELATED Links사진 [20160711] 희망제작소 이원재 前 소장, 희망은 우리 사회가 만들 길강연2[20160711] 희망제작소 이원재 前 소장, 희망은 우리 사회가 만들 길 ②강연 [20160711] 희망제작소 이원재 前 소장, 희망은 우리 사회가 만들 길 ①포스터[20160711] 이원재소장의 희망, 우리 사회가 만들 길(74차 정세미, 모종동) 2017.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