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87

[20160711] 희망제작소 이원재 前소장, 희망은 우리 사회가 만들 길 ② LECTURE (74차 정세미, 온양모종동 성당, 2016년 7월 11일) 희망제작소 이원재 前 소장 특강, 희망, 우리 사회가 만들 길 ② 2016.7.11(월) 저녁 7시40분부터 9시경까지 온양 모종동 성당에서 정세미 74차 강연이 진행되었다. 연령대별 가구 소득 추이 증감율 29세 이하의 소득이 대폭 줄었어요. 그러나 39세 이하, 49세 이하, 59세 이하, 60세 이상의 경우에서는 그다지 줄지 않았습니다. 특히 60대 이상의 소득이 끊임없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믿어왔던 자본주의적 방식으로 기업에 취업해서 돈을벌어 살아간다는 게 시스템적으로 어려워졌다는 걸 보여줍니다. 세상이 복잡한 거 같지만, , , 입니다. 이 세가지 밖에 없어요. 20대는 근로소득 밖에 없고, 그 이후 금융소득이 생.. 2017. 1. 3.
[20160711] 희망제작소 이원재 前소장, 희망은 우리 사회가 만들 길 ① LECTURE (74차 정세미, 온양모종동 성당, 2016년 7월 11일) 희망제작소 이원재 前 소장 특강, 희망, 우리 사회가 만들 길 2016.7.11(월) 저녁 7시20분경 촬영 차줌마의 활동은 경제활동일까? (TV예능) 를 보면, 차승원이 요리해서 사람들을 막 먹이는 장면이 나옵니다. 그렇다면 제 질문은 이런 겁니다. 섬에서 하는 그 활동은 과연 경제활동일까요? 생산하고 소비하니까 경제활동일까요? 아니면 사고파는 게 없으니 경제활동이 아닐 수도 있나요? 이 단순한 논란은 이미 250년전 아담스미스부터 끊임없이 주장되어온 경제의 정의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생산이 중요한가 아니면 생산보다 금융(교환)이 더 중요한가에 대한 논란입니다. 는 2014년 10월 17일부터 tvN에서 방영한 TV예.. 2017. 1. 3.
[20160711] 이원재 희망제작소장의 희망, 우리 사회가 만들 길(74차 정세미, 모종동) RELATED Links사진 [20160711] 희망제작소 이원재 前 소장, 희망은 우리 사회가 만들 길강연2[20160711] 희망제작소 이원재 前 소장, 희망은 우리 사회가 만들 길 ②강연 [20160711] 희망제작소 이원재 前 소장, 희망은 우리 사회가 만들 길 ①포스터[20160711] 이원재소장의 희망, 우리 사회가 만들 길(74차 정세미, 모종동) 2017. 1. 3.
[20160711 일정] 이원재 희망제작소장의 희망, 우리 사회가 만들 길(74차 정세미, 모종동) RELATED Links사진 [20160711] 희망제작소 이원재 前 소장, 희망은 우리 사회가 만들 길강연2[20160711] 희망제작소 이원재 前 소장, 희망은 우리 사회가 만들 길 ②강연 [20160711] 희망제작소 이원재 前 소장, 희망은 우리 사회가 만들 길 ①포스터[20160711] 이원재소장의 희망, 우리 사회가 만들 길(74차 정세미, 모종동) 2017. 1. 3.
[20160707] 원자력연구원에 저장중인 사용후핵연료 1,699개에 대한 성명 다음은 '탈핵법률가모임'이 대전 원자력연구원에 저장 중인 사용후핵연료 1,699개에 대해 발표한 성명입니다. 성 명 서 1. 대전 한국원자력연구원 사용후핵연료 1,699개 저장 실태 지난 6월 29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명길의원(더민주 송파을)이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전시 유성구에 있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이하 ‘원자력연구원’) 내에 고준위방사성폐기물인 사용후핵연료가 무려 1,699개나 저장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원자력연구원은 1987년부터 2013년까지 총 21회에 걸쳐 국내 원자력발전소(이하 ‘원전’)로부터 사용후핵연료를 원자력연구원으로 옮겨왔고, 그 내역은 다음과 같다.(사진 참조) 2. 사용후핵연료의 위험성 사용후핵연료는 원자로에서 꺼낸 후 10년간 냉각.. 2017. 1. 3.
[20160702~03 사진④]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 2016년 7월 2일(토)~3일(일)PHOTO.04,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 PHOTO & Book Info Links [20160702~03 사진④]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20160702~03 사진③]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20160702~03 사진②]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20160702~03 사진①]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책소개 [20160702] 이시우 작가의 글과 사진, 민통선 평화기행뉴스[20160702~03]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 2017. 1. 3.
[20160702~03 사진③]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 2016년 7월 2일(토)~3일(일)PHOTO.03,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 PHOTO & Book Info Links [20160702~03 사진④]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20160702~03 사진③]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20160702~03 사진②]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20160702~03 사진①]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책소개 [20160702] 이시우 작가의 글과 사진, 민통선 평화기행뉴스[20160702~03]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 2017. 1. 3.
[20160702~03 사진②]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 2016년 7월 2일(토)~3일(일)PHOTO.02,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 PHOTO & Book Info Links [20160702~03 사진④]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20160702~03 사진③]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20160702~03 사진②]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20160702~03 사진①]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책소개 [20160702] 이시우 작가의 글과 사진, 민통선 평화기행뉴스[20160702~03]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 2017. 1. 3.
[20160702~03 사진①]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 2016년 7월 2일(토)~3일(일)PHOTO 대전정평위,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 PHOTO & Book Info Links [20160702~03 사진④]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20160702~03 사진③]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20160702~03 사진②]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20160702~03 사진①]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책소개 [20160702] 이시우 작가의 글과 사진, 민통선 평화기행뉴스[20160702~03]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 2017. 1. 3.
[20160702] 이시우 작가의 글과 사진, 민통선 평화기행 2016년 7월 2일이시우 작가의 글과 사진민통선 평화기행 민통선 평화기행 | 이시우 (지은이) | 창비 | 2003-06-20정가15,000원, 반양장본 | 339쪽 | 223*152mm (A5신) | 475g | ISBN : 9788936470821 천주교 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회는 2016년 7월 2일부터 3일까지 1박2일간 천주교인 40명을 선착순으로 모집하여 민통선 평화기행을 떠났다. 이번 기행은 민통선에서 비롯될 평화와 통일을 누구보다도 잘 설명해줄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한다는 데에서 그 의미가 깊다. 이시우 작가는 20년 넘게 민통선을 누비고 다니며 그 땀의 결정을 기록으로 남겼다. 특히 2003년에 펴낸 책 『민통선 평화기행』은 한국적인 특징을 뚜렷하게 보여주는 민통선에 대한 본격적인 기행서이.. 2017. 1. 3.
[20160702~03]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 2016년 7월 2일(토)~3일(일)천주교 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회 주최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민통선 평화기행 (선착순 모집 마감) 천주교 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회는 민통선 평화기행 전문가인 이시우 작가와 함께 하는 비무장지대 DMZ 민통선의 평화기행 참가자 선착순 40명을 모집하여 2016년 7월 2일(토)부터 3일(일)까지 1박 2일간의 일정으로 평화기행을 떠났다. 참가자격은 천주교인이면 누구나 신청이 가능했으며, 행사일정은 다음과 같았다. 참가자격: 천주교인참가비용: 5만원 참가일정: 2016년 7월 2일(토) ~3일(일), 1박 2일간 일정(7/2 토 오전 8:30 대전 출발, 장소미정)참가제한: 버스 1대로 갈 예정이며, 선착순 40명에 한해 받습니다.참가방법: 정의평화위원회 사무실이나 사무국장님.. 2017. 1. 3.
[20160630] 김종수 주교와 함께 한 제19기 사회교리학교 수료식- 보령동대동성당 2016년 6월 30일김종수 총대리주교와 함께 한 제19기 사회교리학교 수료식2016년 6월 30일(목), 보령동대동성당 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회(위원장. 김용태 마태오 신부)가 주관한 사회교리학교가 6월 30일(목) 총대리 김종수 아우구스티노 주교님 주례로 보령동대동성당에서 19기 수료생과 선배, 가족 등이 참석한 가운데 수료 미사를 가졌다. 2017. 1. 3.
[20160630] 김종수 주교와 함께 한 제19기 사회교리학교 수료식- 보령동대동성당 2016년 6월 30일김종수 총대리주교와 함께 한 제19기 사회교리학교 수료식2016년 6월 30일(목), 보령동대동성당 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회(위원장. 김용태 마태오 신부)가 주관한 사회교리학교가 6월 30일(목) 총대리 김종수 아우구스티노 주교님 주례로 보령동대동성당에서 19기 수료생과 선배, 가족 등이 참석한 가운데 수료 미사를 가졌다. 2017. 1. 3.
[20160627] 김진향 교수의 통일, 우리가 만들어갈 평화. 개성공단을 보면 통일이 보인다 LECTURE (73차 정세미, 천안쌍용동 성당, 2016년 6월 27일) 김진향 교수의 개성공단을 보면 통일이 보인다 "통일, 우리가 만들어갈 평화" 여러분 행복하십니까? 여러분 행복하십니까? 행복 ... 하셔야 합니다. 정치가 존재하는 이유는 국민행복이고, 국가 존재이유도 국민행복입니다. 정당의 목적 또한 국민의 행복이어야 합니다. 정치경제와 평화, 통일, 복지, 노동, 자유 등 그 모든 가치규범들의 종착지는 국민의 행복입니다. 그래서 평화통일 논의에서 국민행복 딤론에 반하는 것을 다 부정해야 합니다. 나쁜 평화보다 훌륭한 전쟁이 더 좋을까요? 이런 질문을 드리겠습니다. 전쟁보다는 분단체제 유지가 좋습니다. 동의하십니까? 이무리 훌륭한 전쟁도. 아무리 나쁜 평화보다 못합니다. 동의하십니까? 그 가치에.. 2017. 1. 3.
[20160627 사진] 김진향 교수의 통일, 우리가 만들어갈 평화(73차 정세미, 천안쌍용동) PHOTO 김진향 교수의 통일, 우리가 만들어갈 평화(73차 정세미, 천안쌍용동 성당) 천안 쌍용동성당에 걸린 현수막에는 '72차 정세미'로 표기되어있다. 원래 천안아산지역의 정세미는 매월 둘째 주 월요일에 개최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6월 13일(월)에 예정되었으나 교구 사제연수일정 때문에 2주 후인 6월 27일(월)로 계획이 변경된 바 있다. 이에 따라 매월 셋째주 수요일에 열리는 대전지역 정세미의 6월 20일(73차) 행사가 72차가 되고, 6월 27일 행사를 73차로 기록을 하는 게 맞을 것이라고 본다. LECTURE & POSTER Links [20160627] 김진향 교수의 통일, 우리가 만들어갈 평화. 개성공단을 보면 통일이 보인다[20160627 일정] 김진향 교수의 통일, 우리가 만들어갈.. 2017. 1. 3.
[20160627] 김진향 교수의 통일, 우리가 만들어갈 평화(73차 정세미, 천안쌍용동성당) LECTURE & PHOTO Links [20160627] 김진향 교수의 통일, 우리가 만들어갈 평화. 개성공단을 보면 통일이 보인다[20160627 사진] 김진향 교수의 통일, 우리가 만들어갈 평화(73차 정세미, 천안쌍용동) 2017. 1. 3.
[20160627 일정] 김진향 교수의 통일, 우리가 만들어갈 평화(73차 정세미, 천안쌍용동) LECTURE & PHOTO Links [20160627] 김진향 교수의 통일, 우리가 만들어갈 평화. 개성공단을 보면 통일이 보인다[20160627 사진] 김진향 교수의 통일, 우리가 만들어갈 평화(73차 정세미, 천안쌍용동) 2017. 1. 3.
[20160627] 제2회 인천 평화창작 가요제 포스터 2017.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