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의평화세상1489

[20150301] 대전정평위, 대전 평화의소녀상 제막식 참석 2015년 3월 1일대전시청 앞 평화의 소녀상, ​시민 2,377명이 성금과 대전시의 지원으로 2015년 3.1절에 세워졌다. 2015년 3월 1일 오후 2시, 대전 시청 북문 앞 보라매 근린공원에 '대전 평화의 소녀상' 제막식이 열렸다. 지난 2014년 8월 28일 시민추진위원회(상임대표 김용우)가 발족한 지 6개월이 경과되어 건립을 하게 된 것이다. 이번 제막식에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89), 길원옥(88) 할머님이 참석하셨다. 이 두 분은 고령의 나이에도 서울, 일본 대사관 앞의 매주 수요 집회에 늘 참석하고 계시다. 한번 이번 제막식에 천주교 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회 위원들인 문석기, 조세종, 안희정, 이경민, 정춘교 위원 등이 참가했다. 2016. 12. 26.
[20150402] 한국전쟁 민각인집단학살터 골령골 한 평 지킴이 시민운동 시작 2015년 4월 2일세상에서 가장 긴 무덤 '골령골'"골령골 한 평 지킴이 시민운동을 시작합니다"2015년 4월 2일 조례제정으로 적극 추진 4월 2일, 오늘 한국전쟁 때 군경에 의해 집단 학살당한 대전 골령골 민간인 희생자를 추모하는 위령사업 지원을 위한 조례가 제정됐다. 65년 만에 지방자치단체가 희생자들의 진상규명과 위령사업을 벌일 근거를 마련한 것이다. 이에 시민단체들은 늦게나마 대전시의회의 시민화합과 인권회복을 위한 조례제정을 두 손 들어 환영하면서, 대전시의회와 시의회 행정자치위원회, 조례안을 공동 발의한 김경훈·김동섭·김경시·전문학·조원휘·정기현·최선희 의원들에게 감사의 뜻을 표했다. 이제 조례제정을 통해 대전시 조례에 명시되어 있는 △희생자 위령사업 △자료 발굴 및 수집 △ 간행물 발간 △.. 2016. 12. 26.
[20150420 일정] 이유진 위원장의 탈핵을 위한 에너지 대안(정세미 49차) 제49차 정·세·미정의롭고 평화로운 세상을 위한 미사"탈핵을 위한 에너지 대안" ● 강사 : 이유진 (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 2015년 4월 20일(월) 저녁 7시 미사, 7시30분 강연● 대전 목동천주교회(대전광역시 중구 목동 96-3 / 042-252-8001) [출처] 제 48차, 49차 정의롭고 평화로운 세상을 위한 미사 안내 (천주교 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회) |작성자 까리따스 2016. 12. 26.
[20150415] 김덕진 국장의 인권과 인간노동 (사회교리 7강) 인권과 인간노동 김덕진 천주교 인권위원회 사무국장 2015.4.15(수) 저녁 8시 09분 풍경. 제13기 대전사회교리학교 7주차 강의가 시작되고 있는 모습 강의는 강사와 수강생의 가위바위보 대결로 시작되었다. 강사를 이긴 사람만 남고 진 사람은 게임에서 탈락한다. 그렇게 서너차례 했는데, 최종 2명이 남았고, 그들에게 쌍용차 투쟁기록을 담은 책 가 각각 증정되었다. 그리고 강의는 쌍용차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되었다. - 필기자 주 이창근의 해고일기 (김덕진) 복직 약속을 믿고 살다가 지키지 않는 회사 때문에 거리에 나와서 오랜 시간을 보낸 분들이 계십니다. 그 분들은 대한문에서만 2년 넘게 농성하고, 농성자리 지키려고 2백일 가까이 성직자들이 나와서 미사를 보내며 함께 했습니다. 여기서 이창근이란 분은 .. 2016. 12. 26.
[20150416] 안동교구 세월호 참사 1주기 추모 및 참회미사 성명서 2015년 4월 16일 - 세월호 참사 1주기 추모 및 참회미사 성명서 - 세월호 참사의 진실을 규명하라! 304명의 고귀한 생명이 희생된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지 일 년, 아직 우리 국민들은 세월호 참사의 충격과 아픔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세월호 참사는 자본의 탐욕이 몰고온 사고였으며, 국가가 국민을 구조하지 않고 방치한 사건이다. 그 누구도 사고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았고 진상규명은 여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오히려 진실 규명을 위한 유가족들과 시민사회의 요구를 보상금을 노리는 파렴치한 행위로 호도하며, 끊임없이 사회적 갈등을 유발시키는 정부와 여당의 행태는 우리를 더 큰 절망과 분노로 몰아넣었다.세월호 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이 2015년 1월 28일 공포되었지만 정부는 진상.. 2016. 12. 26.
[20150416] 세월호참사 추모 1주기 맞아 모아보는 추모 영상들 [06:53"] 시민이 함께하는 추모 영상제(2014.10.26) [04:07"] 추모 샌드아트* 자식을 먼저 보낸 당신에게 [04:43"] 참사 100일 추모 샌드아트* 너희를 잊지 않을께! 2016. 1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