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안팎뉴스808 [천안쌍용2동] 김혜진 활동가의 비정규직 노동 이야기 - 5/8 (월) 그들의 희망이 곧 우리의 희망이다 '김혜진 활동가의 비정규직 노동 이야기'5/8(월) 오후 7:45, 천안 쌍용2동 성당 김혜진은 시대의 불안을 안정으로 바꾸고, 고민을 희망으로 풀어내려는 노동운동 현장의 몇 안되는 열혈 활동가이다. 비정규직 노동자가 600만명을 넘어선 지 몇 년이 훌쩍 지나버렸지만, 여전히 노동 시장의 양극화는 더욱 더 심해져만 가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김혜진 활동가는 혼자 살려다가 함께 무너지는 것이 아니라, 함께 살기 위해 함께 힘을 합치는 노동 운동이야 말로 인간으로서의 진정한 모습이라고 말하고 있다. 20년 넘게 노동운동 현장을 누비고 다녔던 김혜진은 비정규직 문제야말로 대한민국 노동문제의 핵심이라고 말한다. 비정규직 문제는 특정한 사회적 약자의 문제가 아니라, 이미 절반 이.. 2017. 5. 8. 청년들이여 오라! 사회교리 연수로 정의롭고 평화로운 세상을 만들어보자! 대전정평위, 청년 사회교리 연수회 개최6/3(토)~4(일) 1박2일, 대전 지족동 새얼센터에서 개최 천주교 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회(대전정평위)가 교회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청년 사회교리 연수회]를 개최한다. 대전정평위는 2017년 6월 3일(토)부터 4일(일)까지 1박 2일간의 과정으로 대전 유성구 지족동에 위치한 새얼센터에서 [2017 청년 사회교리 연수]과정을 연다고 밝혔다. 올해 처음 개최되는 청년사회교리 연수는 “정의의 결과는 평화가 되리라.” (이사32,17)라는 성구를 주제로 사회교리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시간으로 마련되었다. 6/3(토)부터 4(일)까지 1박 2일동안 열리는 청년 연수회에서는 젊은 세대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경제, 노동, 생태, 정치 등을 주제로 하는 강의와 참여형 .. 2017. 4. 25. [대전봉산동] 믿고보는 이완배 기자의 경제 속살 이야기 '재벌과 경제' 4/17(월) 경제의 속살을 파헤친다. '이완배 기자의 재벌과 경제 이야기'4/17(월) 오후 7:45, 대전 봉산동 성당 민중의 소리 이완배 기자는 어려운 이야기도 쉽게 풀어내는 능력자이다. 그가 유명해진 계기는 팟캐스트 [김용민의 브리핑]에서 코너에 출연하면서부터이다. 그의 쉬운 설명은 인기를 끌었고, 어떤 이는 "이름깨나 날리는 경제학교수나 박사들보다 훨씬 뛰어나다."라는 소감을 남기기도 했다. '믿고 듣는 이완배, 숨어있는 진주 이완배'란 별명도 함께 얻을만큼 인기를 더했다. 그는 1971년생으로 서울대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아일보 사회부 경제부 기자로 일하다가 민중의 소리 기자로 자리를 옮겼다. 민중의 소리는 비제도권 대안미디어로 2000년 5월 15일 창간한 인터넷 언론사이며 진보언론이다. 이완배는 그동.. 2017. 4. 17. 동아일보 설립자 인촌 김성수는 친일파, 대법원에서 확정 인촌 김성수는 친일파, 대법원 확정친일파를 친일파라고 부르는 데 8년의 시간이 걸려 동아일보 설립자 인촌 김성수(1891~1955)의 친일 행적이 사실이었음을 대법원이 확정지었다. 2017년 4월 13일(목), 대법원 1부는 김성수의 증손자 김재호 동아일보 사장과 (재)인촌기념회가 행정자치부 장관을 상대로 제기한 [친일반민족행위 결정취소] 소송에서 원고 일부 패소를 판결한 원심을 2017년 4월 13일자로 확정지었다. 무려 8년의 시간에 걸린 법적 다툼 끝에 인촌 김성수이 친일파였음을 역사에 제대로 기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 인촌기념회 홈페이지 첫화면. 이들에 따르면 인촌 김성수는 독립운동가였으며, 국가를 위해 헌신한 애국자였다. 그러나 2017년 대법원은 김성수가 친일파였음을 확정지었다. .. 2017. 4. 14. 4.15 세월호 3주기 22차 범국민행동의 날, 5시 30분 세월호 참사 미수습자 수습과 철저한 선체조사, 책임자 처벌철저한 박근혜 수사와 처벌! 공범자 구속! 적폐청산!세월호 3주기 22차 범국민행동의 날 4월 15일(토) 5시 30분 광화문광장 2017. 4. 13. 주교회의 생태환경위, 5월 15일(월), 경주에서 탈핵 관련 심포지엄 개최 주교회의 생태환경위, 경주에서 탈핵 관련 심포지엄 개최“핵발전소의 문제점과 가톨릭교회의 가르침” 작년 9월의 경주 지진 이후, 500회가 넘는 여진이 이어지고 있다. 활성단층이 있는 경주·울산·부산 지역에 핵발전소 13기와 500만의 사람이 살고 있다. 핵발전으로 10만년을 보관해야 할 사용후핵연료가 매년 700톤 이상 나오고 있지만, 더 이상 저장할 수 있는 곳이 없는 지경이다. 결국 핵발전 사고의 공포와 방사능 피해는 오롯이 핵발전소 지역주민들의 몫입니다. 이러한 때에 천주교 주교회의가 탈핵 관련 심포지엄을 경주에서 개최한다. 주교회의 생태환경위원회(강우일 주교)는 2017년 5월 15일(월) 오후 3시부터 4시간동안 경주에 소재한 대구가톨릭대 경주 인성수련원에서 '왜 탈핵인가?'에 대한 심포지엄을 .. 2017. 4. 12. 이전 1 ··· 43 44 45 46 47 48 49 ··· 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