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의평화세상1489

[20160814] 사드가고 평화오라... 사드배치 철회 범국민평화행동 2017. 1. 3.
[20160804] 백남기 농민 국가폭력사건 청문회 개최 가로막는 새누리당 규탄 2016년 8월 4일2016년 8월 4일 새누리당 대전광역시당 앞에서 개최한 [백남기 농민 국가폭력사건 청문회 개최 가로막는 새누리당 규탄 대전 시민사회종교 공동 기자회견] 中 김다울 신부 발언내용 먼저, 경찰이 직사 살수한 물대포를 맞고 8개월이 훌쩍 넘도록 의식을 잃고 병원에 누워계신 백남기 임마누엘 형제님을 위해 기도합니다. 또한 8개월이 넘는 시간을 가슴이 미어지는 고통으로 보내고 있는 백남기 형제님의 가족들을 위해서도 기도합니다. 지난 월요일 서울대병원 앞에 갔을 때, 최근 상태가 더 악화되었다는 얘기를 듣고 너무나 안타까웠습니다. 좋으신 주님께서 백남기 형제님, 그리고 그 가족들과 함께 해 주시고 당신의 자비를 드러내시길 간절히 청합니다. 무릇 공권력을 행사할 때는 국민의 생명을 위협하거나 기.. 2017. 1. 3.
[20160801] 김유정 신부기고. 자비의 희년에 대해서(기쁨과 희망 17호, 2016여름) 다음은 주교회의 정의평화위원회의 총무 김유정 유스티노 신부의 "기쁨과 희망" 17호 (2016, 여름) 기고글입니다. 자비의 희년에 대하여 김유정 유스티노 신부 1. 우리는 ‘자비’를 무엇이라 여기는가 얼마 전 한 지인으로부터 불교의 ‘고(苦)’에 대해 새로운 이야기를 들었다. 그분은 ‘기적 같은 축복의 삶을 왜 붇다는 고통, 괴로움이라 얘기했을까’하고 늘 의문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알고 보니 ‘고(苦)’에 해당하는 팔리어 ‘둑카(dukka)’는 본래 ‘부족하다’, ‘불만족스럽다’, ‘불완전하다’, ‘불충분하다’ 등등의 뜻이라고 한다. 갈애(渴愛), 갈급(渴急)에서 오는 고통 등의 의미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 말이 ‘둑카’인데 이것이 한자로 ‘苦’로 번역되면서 삶에 대한 붇다의 설명 자체가 왜곡.. 2017. 1. 3.
[20160801] 박상병 신부기고 '기회의 불평등과 교회' (경향잡지 2016.8월호) 다음은 대전가톨릭대학교 교수이며, 천주교 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으로 활동 중인박상병 루도비코 신부의 경향잡지 8월호 기고 글입니다. 기회의 불평등과 교회 박상병 루도비코 신부 "개천에서 용 난다."는 말은 이제 더 이상 실현 불가능한 이야기라고 한다. 오히려 "개천에서 욕 나온다."라는 말이 자조적으로 쓰이고 있는 현실이다. 헬조선, 흙수저, 엔포세대 등의 표현들과 연결되어 있는 말이다. 한국전쟁뒤,사회를재건하면서 우리 사회의 가장 큰 성장 동력 가운데 하나는 높은 교육열이었다. 하지만 오늘날 교육은 사회발전을 위한 도구이기보다는 생존을 위한 도구가 된 듯하다. 사회 발전을 이끌면서 자기 자신을 성장시키는 교육이기보다 양육강식의 사회 속에서 도태되지 않고 살아남으려는 몸부림 같은 교육이 되어 버린 것이다... 2017. 1. 3.
[20160801 사진] 대전정평위, 양재동 현대차 앞, 한광호 열사 분향소 방문 등 PHOTO (2016년 8월 1일 대전정의평화위원회 서울방문 활동기)천주교 대전교구 정평위 서울 양재동 한광호 열사 분향소 방문 등 2017. 1. 3.
[20160801] 대전정평위, 서울 양재동 현대차 앞, 한광호 열사 분향소 방문 2016년 8월 1일 대전정평위, 서울 한광호 열사 분향소 방문8월 1일, 서울 양재동 현대 자동차 본사 옆 천주교 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회(위원장. 김용태 마태오 신부)는 지난 8월1일 서울 양재동 현대자동차 본사 옆에 마련된 한광호열사 분향소를 방문하고 노조원들을 위로하였다. 이어 백남기농민 쾌유기원 시민농성장과 광화문미사에 함께 하였다. RELATED Link [20160404] 현대차 하청업체 유성기업 한광호 씨 추모기도천막 설치PHOTO [20160801 사진] 대전정평위, 양재동 현대차 앞, 한광호 열사 분향소 방문 등8월 1일 광화문 시국기도회 Links[20160801] 이석태 세월호특조위원장, “특조위는 절대 침몰해서는 안 됩니다”[20160801] 황병주 잠수사. 故 김관홍 잠수사를 기억.. 2017.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