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평강론과글126

[20090928] 대전법동성당, 용산참사와 인권회복 전국사제 시국미사 강론 제11차 대전 전국사제시국기도회 강론 강론 황용연 신부님(법동성당 주임) 9월 27일은 빈첸시오 아 바오로 성인의 축일이었습니다. 한국교회에서 사제들이 교우들에게 빈첸시오 성인의 성덕을 가르칠 때 그분은 사회적 약자로 통칭되는 가난한 이들에게 사랑을 실천한 성인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우리가 그렇게 이해하는 이유는 빈첸시오 성인이 1885년 레오 3생에 의하여 '모든 자선단체의 수호성인'으로 선포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분의 삶은 가난한 이를 돕는다는 자선의 개념을 뛰어넘는 더 큰 삶이었습니다. 그분은 가난한 이의 슬픔과 고통에 동반하셨고 밥 한그릇, 물 한 모금, 옷 한 벌의 나눔에 머무신 것이 아니라, 인간의 고통과 비참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일생을 바쳤으며, 그러한 인간악과 구조악을 유발하는 인간환경.. 2016. 12. 19.
[1990년 자료] 사회정의에 관한 가톨릭교회의 전통 아시아주교회의 연합회 인간발전위원회 회보 (1990년 5~6월호)에서 사회정의에 관한 가톨릭교회의 전통 불의를 고발하고 새로운 사회건설을 위한 길을 선포하는 것은 교회의 예언자적 전통으로부터 이어져내려오는 풍부한 유산이다. 예언적 사명은 또한 예수님의 사명이며, 교회는 사회정의에 관한 회칙과 기타 중요한 사회정의 문서로서 이러한 사명과 도전에 응답해 오고 있다. 우리는 교회 역사에 있어서 매우 중대한 시기에 와 있으며, 1990년대에 우리에게 주어진 예언적 도전에 응답해야 한다. 1991년은 '노동헌장' 반포 후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지금까지의 사회적 가르침을 공부하고 정리함으로서 다음 100년 동안의 사회적 가르침을 준비해 보자. 지금까지의 교회 전통을 충분히 배워서 이런 좋은 전통이 더 이상 교.. 2016. 12. 19.
[2009년 1월] 경제위기 시대 한국교회의 과제 경향잡지 2009년 1월호 [경향돋보기]경제위기 시대 한국교회의 과제 신현주 율리아나 서강대학교 교양학부 강사독일 프랑크푸르크 대학에서 '그리스도교 사회윤리'를 전공하고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신자유주의와 경제위기 신자유주의의 원칙은“국가가 개입하지 않는 시장의 자율성” 이다. 이는 개인이 자기의 이익을 추구하는 자유로운 경제활동이 사회의 부를 가져오며, 시장의 작용에 의해 부가 공정하고 효율적으로 배분된다는 고전적 자유주의 논리(A.스미스, 「국부론」 , 1776년) 에 기초한다. 이런 신자유주의 정책은 국가개입 축소, 복지 축소, 경쟁을 통한 생산성 증대를 특징으로 한다. 한국에서 신자유주의는 IMF 경제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본격적으로 실행되었다. 이때 신자유주의의경쟁논리는 한국 사회 전반에 급.. 2016. 12. 18.
[2014 대림특강] 신앙고백과 그리스도인의 삶(교리와 사회) 대전교구 전민동 성당은 서울교구 박동호 안드레아 신부님을 모시고 대림특강 행사를 개최했습니다. 2014년 12월 2일(화) 저녁 8시 전민동성당 2층 성전에서 열린 이 자리에는 많은 신자분들이 참석하시어, 박 안드레아 신부님의 사회교리에 관한 강론을 들었습니다. 8시부터 10시까지 약 2시간동안 열린 특강은 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이 내용은 실제 강연내용과 일치하지 않은 부분들이 존재하며, 교리내용 등은 글의 구성을 위해 필자가 삽입한 것입니다. 인간의 존엄함이란 무엇입니까? 여러분, 인간의 존엄함이란 무엇입니까? 사실 우리의 인권 수준과 다른 곳의 인권 수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어떤 이들은 경제적 권리를 주장하지만, 잠시 후 보시게 될 의 경우에는 생존권 자체를 위협받고 있습니다. 박동호.. 2014. 12. 2.
사회교리의 근본원리들 (2011년 제1회 사회교리주간- 주교회의 정평위 제공) 2011년 대림 제2주간 ... 제1회 사회 교리 주간에(천주교 주교회의 정의평화위원회 제공) 사회 교리의 근본 원리들 1. '사회 교리'란 무엇인가요? 가톨릭 교회는 19세기 말부터 교황님의 회칙 등 여러 문헌들을 통해 복음의 정신에 따라 그 시대의 표징을 해석하고, 거기서 생겨나는 문제들을 성찰함으로써 교회와 신자 개개인이 어떤 태도로 다양한 사회 문제들을 식별, 판단하고 행동해야 하는지를 가르쳐왔습니다. 이러한 사회 문제들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들을 통틀어 '사회 교리'라고 부릅니다. 십계명을 비롯하여 성경에서도 사회 교리에 해당하는 내용들을 찾을 수 있지만, 본격적인 사회 교리는 산업혁명 이후, 비인간적인 환경에서 고통 받는 노동자들의 권리와 노동의 의미, 국가의 역할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여 교황.. 2011. 12. 4.
[초창기 사회교리론] 교회와 사회 - 가톨릭 사회 교리(社會敎理) - 입문 가톨릭 사회 교리 - 社會敎理 [라] doctrina socialis Catholica [영] Catholic social teaching 1. [정의] 가톨릭 시회 교리는 "그 원천을 성서, 교회의 교부들과 대신학자들의 가르침, 교도권과 특히 최근 교화들의 교도권에 두고 있는 교의적 방향 설정들 및 활동 기준의 총체 (푸에블라 문헌 472항)이다. 영어권에서는 '가톨릭 교회의 사회적 가르침' (Catholic social teaching). 독일에서는 '가톨릭 시회론' (soziallehre)이라 부르기도 한다." 2. [범위와 목적] 사회 교리는 변화하는 실제에 비추어 자신을 살펴보는 지속적인 과정이다(동 473항). 그래서 시회 교리가 영구히 확정된 완전한 교리가 아니기 때문에 신앙에서 출발하고 교.. 2010. 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