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세미 강연166

[20170717] 김익중 교수의 한국 탈핵 강의 대전 정평위 주최, 제94차 정세미 강연대전 원신흥동 성당 (2017.7.17 월, 저녁 7시45분) 김익중 교수의 한국 탈핵 강의 천주교 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회(대전 정평위)는 2017년 7월 17일(월) 저녁 7시 45분, 대전 원신흥동 성당에서 동국대 의대 김익중 교수를 초청하여 '한국 탈핵'에 대한 주제의 강연회를 개최했다. 대전정평위의 정세미(정의롭고 평화로운 세상을 위한 미사와 강연) 제 94차 강연으로 준비된 이번 행사에는 약 100여명의 신자들이 참석하여 김익중 교수의 열강을 들었다. 김익중 교수는 다음과 같이 인사말을 나누면서 강연회를 시작했다.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오늘 한국탈핵이란 제목으로 여러분과 만나게 되었는데요. 굉장히 저는 요즘 기쁩니다. 왜냐하면 제가 6년 내내 이 똑같은.. 2017. 7. 21.
[정세미 웹자보 모음] 2017년도 상반기 정세미 웹자보 모음 2017. 7. 14.
[대전 원신흥동] 동국대 김익중 교수가 말하는 '대전과 원자력'(7/17 월) 동국대 김익중 교수가 말하는 '대전과 원자력'7/17(월) 오후 7:45, 대전 원신흥동 성당 "후쿠시마엔 사람이 살아도 아무 문제가 없다? 후쿠시마에는 사람이 살아도 아무 문제가 없다. 만약 후쿠시마 시가 사람이 살 수 없는 땅이라고 한다면 대부분의 북유럽 쪽 핀란드, 노르웨이는 사람이 살 수 없는 땅이라고 볼 수 있겠죠. 이 말은 KAIST(한국과학기술원) 원자력및양자공학과 정용훈 교수의 주장이다. 정 씨는 "후쿠시마는 이제 사람이 못 살 땅이 되었는가?"라는 질문을 던지고,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사람이 못 살 땅이 되는 것은 방사선 영향이라기보다는 사회적인, 경제적인 요인으로 인해서 그쪽(후쿠시마)에서 생계를 이어갈 기반이 없기 때문"이라고 자문자답했다. 그는 심지어 후쿠시마 시에 거주하는 주민들.. 2017. 7. 13.
[천안두정동] 오건호 박사. 정의로운 세금과 복지는 가능하다(7/10 월) 내만복 오건호 운영위원장 초청정의로운 세금과 복지는 가능하다7/10(월) 오후 7:45, 천안 두정동 성당 "지금 한국 사회를 사로잡고 있는 건 불안입니다. 어느 계층에나 불안은 늘 있지만 시대적 징후로써 강하게 느껴지는 건 중간계층의 불안입니다. 특히 현재에 대한 불안보다는 미래 불안이 큽니다. 앞으로 자신이 하향 이동하리라는 불안, 노후가 위태롭고 자식세대의 앞날도 깜깜하다는 불안입니다." 풀뿌리 복지국가 주권운동을 벌이고 있는 시민단체 [내가 만드는 복지국가]의 운영위원장 오건호 박사가 천안의 시민들과 만난다. 천주교 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회는 오건호 박사를 초청하여, 7월 10일(월) 저녁 7시 45분, 천안 두정동 성당에서 '정의로운 세금과 복지는 가능하다'는 주제의 강연회를 개최한다. '내가 만.. 2017. 7. 7.
[대전복수동] 명숙 활동가의 비정규직 노동과 한국사회(6/19 월) 인권운동사랑방 명숙 활동가의비정규직 노동과 한국사회 이야기6/19(월) 오후 7:45, 대전 복수동 성당 문재인 정부의 국가인권위원회 강화가 성공하려면 국내외 시민사회의 신뢰를 회복해야 하고, 법조인 중심의 위원 구성을 벗어나서 다원성과 다양성을 담보하는 '제대로된 인권위원이 선출'이 중요하다. 또한 그래야만 사회적 소수자들을 비롯한 다양한 사회구성원의 인권에 대한 이해와 그에 기반한 활동이 가능하다. 위 글은 인권운동사랑방 상임활동가 명숙이 지난 5월 28일 발행한 칼럼이다. 명숙 활동가는 진보언론 매체인 '민중의 소리'에 꾸준하게 칼럼을 써오면서 국내외 인권을 둘러싼 각종 논쟁들을 날카롭게 분석하고 있다. 특히 그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인권에 대해 각별한 관심을 갖고 있다. 그가 말하는 비정규직 노동자.. 2017. 6. 15.
[천안 불당동] 경남대 김동엽교수 초청, 북한의 미래, 남한의 선택(6/12 월) '북한의 미래, 남한의 선택'경남대 김동엽 교수 초청강연, 6/12(월) 저녁, 천안 불당동 성당제재는 수단이지 목적이 아니다 김동엽는 통일문제와 북한 전문가이다. 해군 중령 출신으로 국방부에서 북핵기획을 맡았고, 남북 군사회담을 준비하고 북한정책을 분석했다. 지난 해 개성공단 철수와 남북 대치가 극단적으로 이어지던 당시, 한반도 통일과 관련된 언론매체와의 대담에서는 남북 간에 발생할 수 있는 군사적 오인이나 우발적 상황에서 의사소통을 하면서 완충하는 장치가 완전히 사라졌기 때문에, 국지적 충돌이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경고한 바 있다. 특히 제재는 수단이지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제재 일변도로 가야 하기 때문에 대화를 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은 오히려 제재 효과를 떨어뜨린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 2017. 6.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