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안팎뉴스808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고 김복동 할머니(93), 고 이모 할머니(94) 김복동 할머니의 아름답고 용기있는 삶을 기억하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일제시대 일본군에 의한 성폭력의 피해를 용기있게 증언하신 故 김복동 할머니가 1월 28일(월) 늦은 밤 운명을 달리하셨습니다. 김복동 할머니는 살아생전 암으로 투병 중이신 가운데서도 활발한 활동을 하셨으나, 최근 건강이 급격히 악화되어 신촌 세브란스 병원에 입원중이셨습니다. 김복동 할머니는 1940년 만 14세의 나이로 끌려가 중국, 홍콩,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지에 끌려 다니며 위안부로서의 험난한 고초를 겪으셨습니다. 또한 1945년 해방이 된 이후에도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일본군 병원에서 간호사로 위장되어 노동을 착취당하다가, ‘위안부’로 끌려가신지 8년 만인 1947년에 귀국하시게 되었습니다. 김복동 할머니는 일본.. 2019. 1. 30. 미국 주교회의 국제정의평화위원장, 한반도평화위해 한국 천주교회 방문 미국 주교회의 국제정의평화위원장, 한반도 평화 위해 한국 천주교회 방문 -19일 오전 주교회의에서 한반도 평화 주제 간담회--한국 주교들과 만남, 통일부 방문도 예정- 미국 주교회의 정의평화위원회 위원장이 한국 교회와 연대하기 위해 2018년 12월 18일(화) 오늘 한국을 방문한다. 한국천주교주교회의에 따르면, 미국천주교주교회의 국제정의평화위원회 위원장 티모시 브롤리오 대주교가 한반도 평화와 민족의 화해를 위한 한국 천주교회의 노력에 힘을 싣고자, 한국 교회를 연대 방문(solidarity visit)한다고 밝혔다. Archbishop Timothy P. Broglio, Chairman of the Committee on International Justice and Peace of USCCB, 인물사.. 2018. 12. 18. [20181217] 제주섬에 깊이 묻혀있던 이야기(올해 마지막 정세미 '어느날') 2018년 12월 17일(월)제주 섬에 깊이 묻혀 있던 이야기를 꺼내며극단 [단디]의 연극 '어느날'로, 2018년 정세미 마지막 행사를 마무리대전 정평위, 제주 4.3 다룬 연극 '어느날', 새얼센터에서 개최 대전정평위는 2018년 12월 17일(월), 새얼센터에서 연극 '어느날'을 개최했다. 천주교 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회(위원장 김용태 마태오 신부)는 2018년 정세미의 마지막 행사로 극단 단디의 연극 [어느날] 공연을 올렸다. 2018년 12월 17일(월) 저녁 7시 미사, 7시 50분 연극공연으로 진행된 이번 정세미에는 대전 교구 각지에서 70명 남짓한 교우들이 참석하여 뜻깊은 정세미의 한 해를 마무리했다. '제주 4.3'은 1948년 4월 3일 일어난 사건을 전후로 제주도에 불어 닥친 비극적 상.. 2018. 12. 18. 정의사제 함세웅 신부님의 특별한 강의가 전민동성당에서 12/8(토) 저녁 열립니다 함세웅 신부님이 전민동 성당에서 펼치는 특별한 강의2018.12.8(토) 저녁 8시, 대전 전민동 성당 2층 성전에서[도대체 전례란 무엇이며 또 대림절은 무엇입니까?]란 제목으로 천주교의 양심을 상징하는 대표적 인물인 함세웅 신부님이 성탄을 준비하는 기다림의 대림절에 전민동 성당을 방문하여 특강을 개최한다. 천주교 대전교구 전민동성당(주임신부 방경석)은 12월 8일(토) 저녁 8시, 정의사제란 별칭으로 유명한 함세웅 신부님을 초청하여 [도대체 전례란 무엇이며 또 대림절은 무엇입니까?]란 제목의 특강행사를 갖는다고 밝혔다. 이번 강연은 천주교 대전 전민동 성당이 2018년을 맞이하여 야심차게 기획한, 이른바 (일명. 세바특강)의 12번째 행사이다. 함세웅 신부님은 대한민국의 교육자이며 사회운동가로, 세례명.. 2018. 12. 8. [제주 4.3 기행](4) 비극의 도화선이 된 47년 3-1절 만세기념대회 [제주 4.3 기행](4) 47년 3-1절 만세기념대회의 비극 대전정평위 제주 4.3 방문단(2018.11.10 토) 제주 평화공원 제2관 해방과 좌절해방되었지만 더 큰 참극에 휘말린 제주의 아픈 역사 1947년 3월 1일의 발포사건은 다음 해 4.3 새벽에 일어난 무장봉기와 이어진 대학살극의 신호탄이 되었다. 사진은 제주다크투어 강은주 공동대표가 당시 상황을 설명하는 모습이다. 제주 섬의 지정학적 위치는 강대국인 미국이나 중국이나 결코 뺏길 수 없는 곳에 자리하고 있다. 이것은 다시 말해서 국제적 힘의 역학관계상 제주도가 반드시 평화의 섬이 되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특히 제주 4.3의 비극은 이 섬이 다시는 강대국의 전초기지가 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광복 이후 미군.. 2018. 11. 11. [제주 4.3 기행](3) 동아일보의 가짜뉴스와 친일파의 득세 [제주 4.3 기행](3) 동아일보의 가짜뉴스와 친일파의 득세대전정평위 제주 4.3 방문단(2018.11.10 토) 제주 평화공원 제2관 해방과 좌절 친탁과 반탁을 명쾌하게 '오보'하여 판을 뒤집다 동아일보의 1945년 12월 27일자 가짜뉴스로 인해 숨죽이고 있던 친일파가 다시 득세하는 계기가 되었다. 지난 몇 년간(2016~2018) 예멘 출신 난민 500여 명이 제주도에 입국했다. 제주도는 관광객을 유치하려고 별다른 조건 없이 30일간 무비자 체류가 가능하다는 점이 입국을 가능하게 했다. 이처럼 난민이 대거 유입된 건 유례가 없는 일이었다. 게다가 그들은 모두 이슬람 신앙인들이었다. 그래서 우리 사회에는 본격적인 반 난민 여론, 반 이슬람 여론이 생겨나기도 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찬반을 떠나서라.. 2018. 11. 11.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135 다음